지식의 정원

반응형

학부모 상담주간은 선생님과 학부모가 아이의 학교생활과 학습 태도, 성장 과정을 함께 논의하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하지만 짧은 상담 시간 동안 어떤 질문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부모님들 많으시죠?
학부모 상담주간을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방법과, 꼭 물어봐야 할 핵심 질문 리스트를 정리해드립니다.

 

 

 

💡 학부모 상담주간이란?

 

  보통 학기 초(3월 말 ~ 4월 초)에 이루어지는 상담주간으로, 담임선생님과 아이의 학교생활 및 여러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주로 약 20분동안의 상담시간이 주어지며,  상황에 따라 1:1로 대면 혹은 전화로 상담이 가능합니다. 학부모 상담주간에는 담임선생님이 여러 학부모님과 상담을 하기 때문에, 예의 상 주어진 상담시간에 늦지 않게 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 상담주간을 잘 활용하면 아이의 학습·사회성·정서 발달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겠죠! 하지만 담임선생님과의 만남이 어렵기도 하고 짧은 상담 시간 동안 무엇을 물어봐야 할지 몰라 허둥지둥하다가 나중에 집에 와서 '아 이거 여쭤볼걸!' 하며 후회하는 경우도 더러 있더라구요. 선생님과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미리 질문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상담 전, 이렇게 준비하세요!

  • 아이와 미리 대화해보기 (학교생활, 친구 관계, 고민 등)
  • 상담에서 꼭 알고 싶은 부분 정리하기 (학습 태도, 친구 관계, 생활 습관 등)
  • 선생님께 부탁하고 싶은 사항이나 궁금한 점 정리하기

1학기는 선생님이 아이들과 함께 한 시간이 한달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을 완전히 파악한 것이 아니에요. 

그래서 특히 1학기 상담주간에는 담임선생님이 꼭 아셔야 하는 정보를 전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강상의 주요 이력(알러지 등)
  • 의료 및 비상 상황시 연락처
  • 가정 환경 및 형제자매 정보
  • 자녀의 성격, 강점, 특성
  • 학습 스타일 및 학습 능력, 취약 과목
  • 자녀의 친구 현황 및 특이사항

 

 

 

 

💡   꼭 물어봐야 할 학부모 상담 질문 리스트


🔹 학습 관련 질문

  • 수업시간에 아이의 학습 태도는 어떤가요? 고쳐야 할 안 좋은 습관이 있을까요?
  • 특정 과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가정에서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나요? 

🔹 사회성·친구 관계 관련 질문

  • 우리 아이는 ~~이러한 성격이라 친구들에게 이렇게 대하는 편이에요. 지금은 친구들과의 관계가 어떨까요?
  • 학교에서 친구 관계에서 갈등을 겪은 적이 있나요? 가정에서 어떻게 지도하고 관리하면 좋을까요?
  • 우리 아이가 리더십을 발휘하는 편인가요, 아니면 조용한 편인가요?
  • 쉬는시간, 점심시간에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 편인가요?
  • 학교에서 특별히 어려워 하는 부분이 있나요? 어떻게 제가 도울 수 있을까요?

 

그냥 궁금한 점만 질문하는 것보다 그에 대해 가정에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질문과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궁금한 점이 있다면 그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셔야 구체적인 답변이 나온답니다.

 

❌ 선생님, 우리 아이가 친구들과 잘 지내나요? 

⭕ 선생님, 우리 아이가 내성적인 편이라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지 못하는 편이에요. 그래서 작년에는 친구들이 다가와줬는데, 이제 고학년이다보니 이런 부분이 좀 걱정이 됩니다. 나름 노력은 하고 있는데 학교에서 어떤가요?

 

❌ 선생님, 우리 아이 공부는 잘 하나요?

⭕ 선생님, 아이가 수 개념이 약해서 수학을 많이 어려워해요. 학교에서 수학 시간에 잘 따라가나요? 가정에서는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  피해야 할 학부모 상담 질문 리스트

 

학교와 선생님을 비난하거나 선생님의 자질을 의심하는 질문은 절대 NO!

선생님과의 관계를 불필요하게 긴장시키거나 상담 분위기를 해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설마 이런 질문을 하시려고 하는 분들은 없겠죠..?)

 

1. 왜 우리 아이는 상을 못 받았나요?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방법이 있을까요?로 순화해보세요.

 

2. 반에서 누가 제일 공부를 잘 하나요? 혹은 우리 아이가 다른 아이들보다 공부를 잘하나요?

→ "우리 아이의 학습 스타일과 강점을 더 키우려면 어떤 점을 도와주면 좋을까요?"로 순화해보세요.

 

3. 선생님의 권한을 넘어서거나 사적인 질문 

 : 다른 학부모가 ~~한 말을 하던데, 선생님 생각은 어떠세요?

 : 다른 반은 ~~한 활동을 한다던데, 이 반에는 다른 활동이 없나요?

이런 질문들은 교육과 직접 관련이 없고, 상담의 목적과 벗어나기 때문에 절대 금물입니다. 

 

 

 

 

 

 

💡   상담 후, 이렇게 활용하세요!

 

1. 상담 내용을 메모해 두기

2. 집에서 아이에게 피드백 전달하기 (긍정적인 방식으로) ⭕ 선생님이 너 발표 실력이 많이 좋아졌다고 하시더라! 앞으로 더 자신감을 가지면 좋겠대!

❌ 선생님이 너 집중 안 한다고 하시더라. 정신 차려라!

 

3. 학교생활 & 학습 방향 점검하기 : 상담에서 나온 개선점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예) 집중력이 부족하다면, 집에서 20~30분씩 집중하는 연습 하기

예) 친구 관계에 어려움이 있다면, 대화법을 연습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알려주기

 

4. 필요하면 추가 상담 요청하기 및 선생님께 감사 인사 전하기

예) 한 달 후에 다시 한 번 아이의 변화에 대해 상담할 수 있을까요?

예) 선생님 덕분에 아이의 학교생활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어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상담 후 중요한 것은 실행!
단순히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도 실천할 수 있도록 작은 변화부터 시작해 보세요. 😊📖✨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